인터서브젝티브티 프레지던트 - (박구용, 월말 김어준)
이재명 대통령의 철학과 리더십: ‘인터서브젝티브티 프레지던트’란 무엇인가?2025년 대선 이후, 많은 이들이 느낀 건 단순한 정권 교체의 기쁨이나 패배감이 아니었습니다. 그보다 더 본질적인 변화, 그리고 어떤 감정의 '마침표'였습니다.방송인 김어준과 철학자 박구용 교수의 깊은 대화를 통해, 우리는 대한민국 정치의 흐름을 넘어, 이재명이라는 인물의 정치적 철학과 한국 사회가 어디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되짚어볼 수 있었습니다. 대선 그 이후, “끝이 있다는 자각”김어준은 대선 다음 날, 처음으로 ‘끝이 있다’는 감정을 느꼈다고 고백합니다. 그것은 정치적 불안, 생존의 위협, 거대한 체제 속에서의 절박한 생존 본능에서 벗어나, 비로소 인간다운 감정을 회복하게 된 순간이었습니다.그가 말하듯, "고기를 더 먹어야겠..
2025. 8. 20.
도덕 강박과 권위주의를 넘어서 진보가 나아갈 길― 박구용 교수의 철학적 시선으로 읽는 우리 시대(다스뵈이다 요약)
도덕 강박과 권위주의를 넘어서 진보가 나아갈 길― 박구용 교수의 철학적 시선으로 읽는 우리 시대최근 들어 철학자 박구용 교수의 등장이 부쩍 잦아졌다. 그가 말하는 철학은 교과서 속 고전이나 추상적인 담론에 머물지 않는다. 오히려 그 철학은 지금 이 순간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현실, 정치, 도덕, 권위, 문화의 모순과 그 틈을 정확히 겨냥한다.이번 글에서는 박구용 교수가 김어준과의 방송, 특히 최근 시리즈에서 풀어낸 철학적 통찰들을 바탕으로 한국 사회와 정치, 문화가 안고 있는 구조적 문제들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월말 김어준 전체 회차 보기👆1. 박구용 교수, 철학으로 시대를 해부하다박구용 교수는 철학자이자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오랜 시간 동안 인간 존재, 사회 정의, 권위주의, 민주주의, 도덕과..
2025. 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