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냉동 탑차 조립 방법

by 대박.나자 2025. 7. 29.
반응형

냉동 탑차 이미지
냉동탑차

🛠️ 2025년 냉동탑차 조립, 어디까지 알아야 할까?

냉동탑차는 일반 트럭(1톤, 1.2톤, 2.5톤 등)에 단열 탑체와 냉동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으로,
신선식품, 제약, 새벽배송 등 콜드체인 물류에서 필수적인 존재입니다.
이 글에서는 탑차 구조 설계부터 냉동기 장착, 배선, 시험 운행,
그리고 조립 전 확인사항까지 총망라하여 실전용 가이드로 정리해 드립니다.


✅ Ⅰ. 냉동탑차 조립 기본 개념과 사전 준비

• 핵심 구성 요소

  • 탑 프레임 구조: 알루미늄 또는 스틸 프레임에 단열재 삽입
  • 단열 체계: 우레탄 폼, XPS 등의 고밀도 단열 소재, 국내의 경우 EPS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 외장 패널: FRP 또는 스테인리스, GRP 마감
  • 냉동기 장착: -5℃ ~ -25℃ 유지 가능한 모델
  • 전기·배선 시스템: 온도 센서, IoT 모니터링 모듈, LED 조명 등

• 조립 전 차량 준비사항

  • 차량 톤수 확인: 1톤 또는 그 이상
  • 자동차 구조변경 승인 절차 진행
  • 화물 사업용 번호판, 운송사업자 등록
  • 냉동설비 보험 및 안전검사 가능 여부 확인

✅ Ⅱ. 냉동탑차 프레임과 단열 구조 조립

• 프레임 제작 및 탑 설계

  • 알루미늄·스틸 프레임 제작 후 상·하단 단열층 삽입
  • 내부 공간은 가로 약 1.7m × 세로 3.95m × 높이 1.85m 수준을 기준으로 설계 (축 연장차 기준)
  • 단열 성능이 뛰어난 고밀도 우레탄 폼 사용 → 냉기 유출 최소화
  • 샌드위치 패널(EPS)을 활용한 제작 방식도 있음

• 패널 조립: 외장과 내부 마감

  • 외부는 FRP 패널로 제작해 경량화
  • 내부는 스테인리스·알루미늄 마감재로 위생성 확보
  • 고무 실링·실리콘 처리로 문틈 냉기 유출 차단
  • 도어의 경우 경첩 노출형과 매립형 2가지가 있음

✅ Ⅲ. 냉동기 설치 및 전기 시스템 구성

• 냉동기 선정 및 장착

  • 대표 브랜드: Thermo King, 한라, 대성 등
  • 유형: 전기 모터형, 벨트형, 독립형
  • IoT 기반 원격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연결 가능
  • 유지 관리가 용이한 업체의 제품을 선정해야 향후 A/S가 용이함

• 전원 배선 및 센서 구성

  • 배터리 & 발전기 연결: 안전 퓨즈 및 차단기 설치
  • 온도 센서 & LED 조명 라인 구성
  • 후방카메라 매립
  •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IoT) 연동 준비

✅ Ⅳ. 마감·내부 옵션·시험 가동

• 내부 마감 및 옵션 설치

  • 바닥은 방수 처리 및 미끄럼 방지 패널
  • 탈부착형 선반 설치 시 다양 품목 운송 유리
  • 도어 씰 재질 업그레이드 → 냉기 보존 강화
  • 이동식 칸막이 또는 고정식 칸막이 제작 가능

• 시험 가동 절차

  1. 냉동기 시동 후 –18℃ 달성시간 체크(30분 내 도달해야 정상)
  2. 문 개폐 후 회복 속도 측정
  3. 실제 운행 조건에서 하루 이상 모니터링
  4. 단열·냉동기 성능 최종 검수

✅ Ⅴ. 조립 단계별 체크리스트

  • 차량 톤수 및 구조변경 승인 여부
  • 단열 설계 및 탑 내부 구성 확정
  • 냉동기 선택 및 장착 방식 결정
  • IoT/전기 배선 시스템 구성
  • 내부 마감, 바닥, 도어 재질 검수
  • 시험 운행 데이터 수집 및 최종 확인

📌 결론: 냉동탑차 조립, 준비와 정확한 설계가 핵심

냉동탑차는 정밀한 단열 설계, 적합한 냉동기 선택, 전기 시스템 구성,
그리고 정확한 시험 운행 검증을 거쳐야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탄생합니다.
2025년 기준, 이런 절차를 직접 실행한다면 전문 제작 수준의 냉동탑차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갖출 수 있습니다.

시간을 갖고 한번 도전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